본문 바로가기

초대시인

[이 계절의 초대시인] 장석남

 

★ 장석남 시인의 신작시 ★

*

 

얼음의 일

 

조선 무쇠 솥을 길들여 난로 위에 얹고
물을 부어 끓이네
물이 끓으면 
물이 끓으면
밤은 덩달아 깊고
되돌아 갈 수 없이 깊어지면
저편 하늘은 비어
또 동구 밖으로 나설 일 생길거야
묵은 가위를 닦고
걸레를 빠네

 

 

 

 

다섯 개의 난로를 피워 놓고

 

엄동을 맞아
다섯 군데에 난로를 놓고 불을 피웠답니다
무릎 치는 추위가 닥쳐옵니다
가루 눈이 날려요
다섯 군데의 탄불은 제각각 붉고 
제각각 자고 잠들다 아주 시드는 불에 
주인은 다시 시퍼런 밑불을 넣어 살려놓습니다
난로 곁에는 그러나 주인 말고는 아무도 없습니다
어려서 추워 죽은 귀신이나 가끔 있을까
사노라 맛보던 치욕이나 졸며 있을까
다 비고 온기만이 여럿입니다
딱딱한 골바람 건너다니며 불들을 보살피니
반려불이라 하겠습니다
종일 다섯 군데의 난로에 연탄을 넣고 다닙니다
혹 묻는 이 있을까 하여 답을 구하니
그저 더 가까이만 부를 뿐 
먼 어느 왕의 말처럼 
조용히 붉습니다

 

 

 

 

★ 장석남 시인의 대표시 ★

*

얼룩에 대하여

 

못 보던 얼룩이다

한 사람의 생은 이렇게 쏟아져 얼룩을 만드는 거다

빙판 언덕길을 연탄을 배달하는 노인
팽이를 치며 코를 훔쳐대는 아이의 소매에
거룩을 느낄 때

수줍고 수줍은 저녁 한 자락씩 끌고 집으로 갈 때
千手千眼의 노을 든 구름장들 장엄하다

내 생을 쏟아서
몇 푼의 돈을 모으고
몇 다발의 사랑을 하고
새끼와 사랑과 꿈과 죄를 두고
적막에 스밀 때

얼룩이 남지 않도록
맑게
울어 얼굴에 얼룩을 만드는 이 없도록
맑게
노래를 부르다가 가야 하리

 

 

 

치졸당기(稚拙堂記)

 

 

                                             이젠 잠자리에 들어서도 반성이랄 것도 없이 그냥 배가 부르
                                          면 배가 부른 채로 배가 부른 잠을 그대로 받아 안는다.

                                            올해도 몇 그루의 나무들을 사다가 차례도 질서도 없이 계단
                                          앞에 묻어본다. 사과나무, 배나무, 불두화, 석류, 매화, 넝쿨장
                                          미……  모두가 살아난다면  이 좁은 마당은  얼마나 치졸해질
                                          까? 그러나 그 치졸을 나는 즐기련다.

                                            속물은 할 수 없다.  잠 속에도 이것저것을 묻어둔 모양이다.
                                          어떤 때는  여성의 성기가 보이고  또 어떤 때는  돈 다발이 보
                                          이기도 한다.  안팎 속물들과도 별 수 없이 어울리고,  웃고, 거
                                          래한다, 뭐 좀 서로 속여보자는 속셈이다, 돈냥이라도 좀 얻어
                                          먹어 보자는 속셈이다,  참,  차례도 질서도 없이  피어나는 잠
                                          속의 종이꽃들,

                                            이젠 잠이 깨어서도  막막함이 없다.  막막하기 전에  신문지
                                          를 찾고  막막하기 전에  마당에 심은 치졸들을 들여다보고 막
                                          막하기 전에 시를 읽는다, 시를 읽는다, 막막하기 전에 강의를
                                          듣고  막막하기 전에  뭐 또 가르칠 만한 게 있다고 학생들 앞
                                          에까지 나선다, 막막하기 전에 술을 마신다, 막막하기 전에 취
                                          하고, 막막하기 전에 잠을 부른다, 배가 불러도 반성이랄 것도
                                          없다, 부른 배가 부른 잠을 그대로 받아 안는다.

                                            멀리서  호오이 호오이  밤새가 운다. 저것이 비명이란 것도
                                          모르고 나는 잠을 자고 있었구나.

 

 

 

 

산에 사는 작은 새여

 

감꽃이 나왔다 
신문을 접고 감꽃을 본다
참 먼 길을 온 거다
벽에 걸린 달력 옛그림엔 말 씻는 늙은이 진지하고
살찐 말은 지그시 눈 감았다
어디서 나비라도 한 마리 날아와라
날아와서 말 끌고 가라
성 밖 막다른 골목 어귀에 자리 잡고 살지만
번거롭다, 밥이나 먹고 사는 일이야 간단한 것인데
이 눈치 저 눈치 며칠째 이 小市民을 얽어맸다
나비라도 한 마리 훨훨훨훨훨 지나가라
내 말 끌고 가라, 아무 말 하고 싶지 않다
사람 소리 드문 산속으로나 들어갈까
그러나 거기는 세상을 엿본 자나 들어갈 수 있는 곳!
세상을 관통한 자만이 들어가 피빨래를 해서 들꽃으로
들꽃으로 낭자히 널어놓는 곳!
지난해엔 「산유화」를 읽으며 잘 살았지
산에 사는 작은 새여,
지금도 꽃 피고 꽃 지는가?
지금도 지금도 꽃 피고 꽃 지는가?

 

 

 

 

 

 최서림 시인의 詩作 노트 

 

소나무와 소나무 그림자와

 

겨울을 나기 위한 거처에 와 있다. 아침이면 앉게 되는 창 저편 아래쪽에 커다란 소나무 다섯 그루가 서로 가지를 섞어서 의지하며 서 있다. 둥치가 한 아름은 족히 넘고 목피는 짙은 노을빛이라 본인이 어림으로 알고 있는 그 ‘금강송’인가 하는 나무로 짐작할 뿐이다. 거처로 올라오는 길목의 것이라서 멀리서는 볼 수 없는 허리 아래의 모양새며 서 있는 자리를, 차를 늦추어 살펴보곤 하는데 그 터전은 아무리 봐도 대규모 암반지대다. 스치는 생각으로는 바위틈에서 그렇게 늠름한 모습으로 오래 살아남기는 쉽지 않을 거라고 여겨지는데 그 생각을 걷어내고, 흔들어 다시 앉혀보면 바위틈이어야만 낙락장송(落落長松)의 자리로 마땅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우리가 아는 비옥한 토양이란 곡식이 잘 자라는 땅을 일컫는 말이다. 채소니 감자니 하는 풋것들이며 알곡의 농사는 평탄하고 적당히 기름진 땅이 제격이겠으나 일 년은 쳐 줄 수도 없고 십수 년이래야 그저 애송이의 모습인 바 수십 년, 수백 년, 혹은 천 년 너머의 시간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살림에 그러한 비옥하고 ‘다정’한 자리는 맞지 않는다. 키가 좀 되면 지나는 무명의 태풍에도 그대로 들어올려져 넘어지고 말 것이다. 대지의 깊은 심중에 뿌리를 내린 암반의 틈서리에 그 사상을 그리워라도 하는 양 뿌리를 더듬어 뻗어 내려가며 휘몰아치는 눈보라에 애써 뻗어나가던 가지들도 꺾여 바쳐가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 자태부터가 어떤 인위(人爲)의 비료를 먹어서 될 일이던가. 금강송들이 자라는 태백 준령의 그 위치를 회상해보니 절벽 아닌 곳이 드물고 북풍한설 없이 안락한 장소는 생각나지도 않는다.
어느 아침은 시인 박재삼의 발견처럼 ‘잘 빗질된 바람’에 살랑이며 그 곧고 가는 침엽마다 아침 햇살을 쏘아대고 있다. 좀 큰 바람이 이는 날에는 느릿느릿 바람 위에 앉아 위아래로 흔들리는 모습이 그대로 큰 화두를 안은 인격의 모습이다. 거기 솔바람 소리라니! 안개 짙은 아침은 저만치 물러나 몽롱하게 잠겨서 묵직한 고요의 정수리만 보여준다. 그 수묵의 풍경 속에는 희망하던 나라라도 싹터왔으면 하는 바람을 슬며시 보내보기도 한다. 그러나 그 안개가 쾌청하게 걷힌들 나라의 새 모습은 쾌청할 리 없다.
오늘은 마침 밤이 되자 조용한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눈은 소나무 가지마다 수북이 앉음으로써 비로소 세상을 설경이게끔 한다. 그 풍경을 제하고 나머지로 눈 온 아침의 멋 운운은 빈말에 불과하다. 어느 해 겨울, 하루를 넘겨 내리는 눈의 무게로 비명을 지르며 가지가 찢어지는 소리를 듣던 백색의 심야를 잊지 못한다. 역사에서의 어떤 사화士禍를 읽던 기분에 비유할 수 있으려나? 그러나 그 꺾어진 소나무가 어느 골의 것인지 어느 언덕의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그저 꺾어지는 비명이 순간 스쳤을 뿐이다. 역사 속에도 그렇게 무리에 묻혀서 제 이름자 하나 남겨진 것 없이 사라진 비극의 주인들이 숨은 골짜기만큼이나, 또 그 언덕마다의 소나무만큼이나 많을 것이다.
어떤 시대건 뜻을 가진 이마다 그 ‘당대’는 ‘숙명’이라는 이름을 붙여 마주할 만한 고난의 현장이고 시간이다. 그런 맥락이라면 ‘지금’도 ‘숙명’이긴 마찬가지다. 역사가 발전하는 것이라고 믿으려면 그 발전을 방해하는 무리의 생각을 무엇으로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인지 쉽사리 답이 없이 절망이 재빠르다.
‘의(義)’에 대하여 선대 역사는 누누이 새겨 놓았으나 지금 그것은 다수의 지식 분자들에게, 이른바 쯩을 가진 이들에게 그저 모래에 묻혀버린, 점토에 새겨진 손글씨의 흔적 정도에 불과하다. 시는 늘 역사에서는 빗겨선 자리의 무지개 역할이지만, 시는 늘 그것들을 되비치는 힘없는 울림이지만 그러나 그 울림에 때로는 애처로움마저도, 분노마저도 부질없이 섞여드는 것을 어쩔 수가 없다.
가을이 겨울이 되고 또 봄이 오는 것이 ‘의’라면, 또 아이가 생기고 총명한 눈으로 곧게 자라야 하고 머리에 하늘을 얹은 순리의 구성원이 되는 것이 ‘의’라면 그 순리를 알량한 사심(私心)들의 분모들이 모여서 왜곡하는 현장을 그저 보고만 있을 수는 없으니 괴롭다. 식자됨의 괴로움을 적은 글을 읽은 적이 있지만 그 ‘식자’는커녕 그저 문맹을 면한 정도의 깜냥으로도 괴로움의 ‘당대’다. 명확한 정치적 거악이 있던 저 7, 80년대의 상황을 면한 현시점에서 교묘한 재주로 변신을 거듭하고 왜곡을 빛으로 치장하는 눈앞 현실은 참담하다. 
시를 붙잡고 살아보자고 맘 세운 지 벌써 35여 년인데 별스러울 것 없는 겨울날의 시 쓰는 이의 모습은 방마다 연탄난로를 장만해 설치해 놓고는 분주히 불을 살피며 오간다. 불 곁으로 모시고 싶은 많은 사색들, 선비들, 시대들이 있다. 그러나 아직 적막하다. 내일 아침에는 소나무가 무겁게 눈을 이고 서 있으리라. 눈은 그쳤고 찬 반달이 서쪽 하늘에서 얼핏 날카롭다.

 

 

★ 장석남 시인 인터뷰

 

 

 

장석남 |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등단. 시집 『뺨에 서쪽을 빛내다』 『물의 정거장』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 등. 김수영 문학상, 편운문학상, 정지용 문학상 등 수상. 한양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부교수.

 

 

반응형